하늘바람과 움직이는 교회
처음 조선에 전파된 복음은 움직이는 것이었습니다. 전국을 다니는 선교사님들의 발자취가 있었고, 권서인을 포함하여 많은 초기 전도자들이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한국교회는 양적인 큰 성장을 하게 되면서 '건물 중심'의 교회가 되었습니다. 심지어 건물이 교회가 되었습니다. 그러나 교회는 예수를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사람들입니다.
건물로서의 교회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람들을 찾아가기보다는 모으는 편입니다. 그래서 더욱 편리해야 하고, 아늑해야 하고, 다양한 놀거리가 있어야 합니다. 그로 인해 참된 교회인 성도들은 세상과 유리된 건물에 갇히게 되었습니다. 이제 다시 참된 교회, 움직이는 교회가 되어야 합니다. 세상 속에서 소금과 빛의 사명을 감당하는 참된 그리스도인들이 등장할 때입니다.
믿힘연구원과 교회를 위한 교육
한국교회는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다양한 위기를 직면하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신앙교육의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전도의 한계를 직면하게 되었고, 교회학교의 위기가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심지어 신학교의 위기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교회학교를 담당하는 설교자의 부재가 곧 현실로 다가올 것입니다. 그러나 이런 위기는 한국교회의 큰 기회이기도 합니다. 우리 성도들의 신앙의 성장과 성숙의 기회이기 때문입니다. 말씀을 연구하고 잘 전할 수 있는 준비된 성도들이 있는 공동체는 부흥을 이어가게 될 것입니다.
기독교 창업운동
기독교 복음전파를 위한 새로운 시도
기독교 창업
복음전파와 기독교창업
창업에 대한 기본적 개념은 두세 가지입니다.
1. 청년세대의 취업 고민으로 인해 "헬조선"이라는 말이 생겼고, 아직도 그 문제가 충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2. 우리나라가 "고령화시대"를 넘어서서 "고령사회"가 되었습니다. 아직도 건강한 노인세대가 사회적으로 은퇴하여 어찌 할 바를 몰라 하고 있습니다. 성실한 삶을 살아온 노인들이 아르바이트 활동을 하면서 청년들의 경제활동을 더욱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노인세대와 청년세대가 경쟁하지 않으면서도 경제적/사회적으로 자유로워질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3. 교회의 선교는 당연히 복음을 전파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만 하더라도 선교 초기에 교회 외에도 학교와 병원 등이 세워졌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창업의 관점에서 볼 수 있습니다.
4. 임실치즈나 제주도 흑돼지 같은 것이 그 지역의 특산물이 될 수 있었던 배경에 지정환 신부님과 임피제 신부님의 선교사역이 있었습니다. 복음전파와 함께 지역의 경제적 문제를 돕는 일이 함께 이루어졌습니다.
5. 오병이어가 복음의 핵심은 아니지만 사복음서에 다 나오는 기적인 것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그것은 사람을 살리는 일 중에서 급하게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영혼의 구원과 함께 육체의 필요를 채우는 것도 소중합니다.
6. 이를 위한 기독운동을 전개하고자 합니다.